01. 파이썬 기초 - 데이터 타입

 

 

Welcome to Python.org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내장 데이터 타임


파이썬에서는 크게 4가지 내장 데이터 타입이 있다.

 

  • 숫자
  • 시퀀스
  • 매핑

 


숫자타입

 

정수

data = 10
print(data);
print(type(data))
-----------------------------

10
<type 'int'>

실수

 

data = 0.01
print(data);
print(type(data))
-----------------------------

0.01
<type 'float'>

 

복소수

data = 1+1j
print(data);
print(type(data))
-----------------------------

(1+1j)
<type 'complex'>

 

Boolean

data = True
print(data);
print(type(data))
-----------------------------

True
<type 'bool'>

시퀀스 타입

각 객체들에 순서가 있는 자료형

 

문자열

# "" 사용
exp = "string";

# '' 사용
exp2 = 'string';

# ''' 사용
exp3 = '''string
    is
        test'''

=======result=======

string
string
string
    is
        test

문자열은 큰따옴표,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작은 따옴표를 ''' 3번 사용하여 문자열을 감싸주면 여러줄의 문자열을 표현할 수 있다.

 

이스케이프 시퀀스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파이썬에서도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지원한다.

표현법은 '\' 를 특정 문자 앞에 붙혀주면 된다.

 

흔이 줄바꿈으로 사용하는 '\n'의 경우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exp = "st\nring";


=======result=======

st
ring

 

**기타 이스케이프 시퀀스 참고**

문자열 연산

분할 연산 - [i:j]

 

분할 연산은  문자열을 부분적으로 추출하거나 잘라내는 연산이다.

[i:j]가 의미하는 것은 i번째부터 j전 색인까지 문자열을 잘라내는것을 의미한다.

 

# [i:j] 분할연산
data = "string";
print(data[0:5])
print(data[0:-3])


==========result==========
strin

확장 분할 연산 - [i:j:step]

 

확장 분할연산은 분할 연산과 마찬가지로 i부터 j 인덱스 전까지 해당 문자열을 추출하는데 step만큼 간격을 가지는 색인의 문자들만 추출한다.

# [i:j:step] 확장 분할 연산
data = "string";
print(data[0:-1:2])
print(data[-1:0:-1])


==========result=============
srn
gnirt

 

in 연산

in 연산은 문자열에 문자 또는 문자열의 존재여부를 검사할 때 사용한다.

# in 연산
data = "python"

print('p' in data)
print('py' in data)

 

문자열 포멧팅

시간과 같이 상황에따라 변하는 문자열을 만들고 싶을때 사용한다.

x = "python";
data = "%s is interesting" % x
print(data)


========result=========
python is interesting

 

리스트

리스트의 생성

data = ["s","t","r","i","n","g"];

print(data);

===========result===============

['s', 't', 'r', 'i', 'n', 'g']

위와 같이 [] 대괄호를 이용하여 각 요소는 ',' 콤마로 구분하여 리스트를 생성한다.

각 요소는 0부터 시작하며 data[0], data[1] 로 접근할 수 있다.

 

튜플

 

튜플의 생성

data = ("string","str",["string"]);

print(data);

===========result===============

('string', 'str', ['string'])

튜플은 () 괄호를 이용하여 각 항목을 묶어서 생성한다.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튜플은 불변객체로 수정, 추가, 삭제 연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append, extend, insert등 메소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매핑 타입

사전타입

파이썬의 내장된 매팅 타입은 사전 타입뿐이다.

사전의 형태와 같이 단어를 뜻하는 "key" 와 의미를 뜻하는 "value"로 이루어져 있다.

 

 

사전생성

data = {"korea":12351, "china":231251, "America": 51923}

print(data)
print(data["korea"])

==========result============
{'korea': 12351, 'china': 231251, 'America': 51923}
12351

 

사전에서 "key" 값은 유니크한 값이여야 한다.

또한 불변객체여야하는 제약사항때문에, 리스트와 같은 수정가능한 데이터 타입은 키가 될 수 없다.

 


셋 타입

셋 타입은 중복이 허용되지 않고 순서가 없는것이 특징이다.

 

셋 생성

# 셋 생성
data = {1,2,3,1,2,2,3,1,2,3}

print(data)

=========result=========
{1, 2, 3}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파이썬 함수  (0) 2020.07.21
02. 파이썬 If, for, while 정리  (0) 2020.07.20
정규식 표현 기초  (0) 2016.01.28
파이썬-Module 불러오는법  (0) 2016.01.26
파이썬-SyntaxError: Non-ASCII Character 에러 해결방법  (0) 2016.01.26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